이번 호는 부동산, 국제정세, 정책 등에 대한 이야기는 많았는데

기업 자체에 대해 자세히 공부할 수 있는 기사는 많이 없었던 것 같다.

백화점 사업은 딱히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아서 그 기사는 건너뛰기로..

오늘은 현대오일뱅크, 대형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관련 기사다.

 

지난호 요약은 여기 ↓

[매경이코노미] 이건희 회장 별세로 삼성물산 강세? / 유보소득세 / 쿠팡의 인재영입, 경영진 교

[ 매경이코노미 2082호 ] '21세기 보이지 않는 손' 알고리즘의 경제학 2020.11.4~2020.11.10 1. 이건희 회장 별세에 요동치는 삼성그룹주, 삼성물산이 핵심이다.  이재용 부회장이 상속세 10조 5000억원을

o9o9yns.tistory.com

 

 

 

1. 안 좋은 정유업황.. 현대오일뱅크만 2분기 연속 흑자인 이유는 무엇일까? 

 

 

 

 

 SK이노베이션, S오일, GS칼텍스 등 경쟁사 모두 적자에 허덕이는데 현대오일뱅크만 흑자인 이유가 무엇일까? 경쟁사 대비 10~20% 높은 고도화 시설 덕분이다. 고도화 설비로 값싼 중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열과 압력을 가해 휘발유, 경유 등의 경질유로 바꿀 수 있다. 갑싼 중유 수입 비중을 높여 자사 고도화 설비로 처리하여 영업마진을 높일 수 있었던 것.

 

 

2. 쏟아지는 배송 물량, 대형마트는 세미다크스토어로 대응 중~

 

 

 

 

 

 세미다크스토어? 배송만 하는 다크스토어와 대형마트의 중간 형태로 보면 된다. 세미다크스토어는 매장에서 영업도 하지만 매장 한편에서는 배송을 위한 포장에 주력하는 형태다. 배송물량은 대폭 증가하는데 이를 감당할 물류센터가 없으니 이를 대체하기 위해 기존 매장의 형태를 바꿔 대응하는 셈이다. 물류센터 건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이번 호에서 주식 투자에 가장 도움이 될 법한 기사는 1, 2번으로 정리한 두 가지였다.

2084호가 나올 때 부동산 규제가 새로 나와서 그런가?

유독 부동산 전망이나 보유세 등에 대한 기사가 많았던 것 같다.

아무튼.. 정유업계 업황이 좋지 않다는 사실, 고도화 시설로 중유를 경질유로 바꿔 마진을 높일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고도화 시설 투자비와 시설 감가상각비 등을 고려해서 고도화 시설 투자가 지속적으로 영업마진을 높여주는 방법인지는 자세히 따져볼 필요는 있다. 근데 정유업체는 지금 그닥 관심이 안가서..

매경이코노미 2084호 끝.

반응형

+ Recent posts